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포레 고후

덤프버전 :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
20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파일:가고시마 유나이티드 로고.svg|height=50]]]][br]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f5fffa '''가고시마'''}}}]]
||<width=25%> [[반포레 고후|[[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height=50]]]][br]
[[방포레 고후|{{{#ffffff '''고후'''}}}]]
||<width=25%> [[로아소 구마모토|[[파일:로아소 구마모토 로고.svg|height=50]]]][br]
[[로아소 구마모토|{{{#ffffff '''구마모토'''}}}]]
||<width=25%> [[더스파구사쓰 군마|[[파일:더스파구사쓰 군마 로고.svg|height=50]]]][br]
[[더스파구사쓰 군마|{{{#ffff00,#feff00 '''군마'''}}}]]
|| ||<height=80> [[V-파렌 나가사키|[[파일:V-파렌 나가사키 로고.svg|height=50]]]][br]
[[V-파렌 나가사키|{{{#0066ad,#52b7fe '''나가사키'''}}}]]
||<width=25%> [[도치기 SC|[[파일:도치기 SC 로고.svg|height=50]]]][br]
[[도치기 SC|{{{#00008b,#7474ff '''도치기'''}}}]]
||<width=25%> [[도쿠시마 보르티스|[[파일:도쿠시마 보르티스 엠블럼.svg|height=50]]]][br]
[[도쿠시마 보르티스|{{{#ffffff '''도쿠시마'''}}}]]
||<height=80> [[미토 홀리호크|[[파일:미토 홀리호크 로고.svg|height=50]]]][br]
[[미토 홀리호크|{{{#ffffff '''미토'''}}}]]
|| ||<width=25%> [[베갈타 센다이|[[파일:베갈타 센다이 엠블럼.svg|height=50]]]][br]
[[베갈타 센다이|{{{#262370 '''센다이'''}}}]]
||<width=25%> [[시미즈 S펄스|[[파일:시미즈 S펄스 로고.svg|height=50]]]][br]
[[시미즈 S펄스|{{{#2a385f '''시미즈'''}}}]]
||<height=80> [[블라우블리츠 아키타|[[파일:블라우블리츠 아키타 로고.svg|height=50]]]][br]
[[블라우블리츠 아키타|{{{#ffffff '''아키타'''}}}]]
|| [[몬테디오 야마가타|[[파일:몬테디오 야마가타 로고.svg|height=50]]]][br]
[[몬테디오 야마가타|{{{#fdf15b '''야마가타'''}}}]]
|| || [[레노파 야마구치|[[파일:레노파 야마구치 로고.svg|height=50]]]][br]
[[레노파 야마구치|{{{#ffffff '''야마구치'''}}}]]
|| [[에히메 FC|[[파일:에히메 FC 로고.svg|height=50]]]][br]
[[에히메 FC|{{{#ffffff '''에히메'''}}}]]
|| [[오이타 트리니타|[[파일:오이타 트리니타 엠블럼.svg|height=50]]]][br]
[[오이타 트리니타|{{{#ffffff,#8cc8fe '''오이타'''}}}]]
||<height=80> [[파지아노 오카야마|[[파일:파지아노 오카야마 로고.svg|height=50]]]][br]
[[파지아노 오카야마|{{{#ffffff '''오카야마'''}}}]]
|| || [[요코하마 FC|[[파일:요코하마 FC 엠블럼.svg|height=50]]]][br]
[[요코하마 FC|{{{#0f2350 '''요코하마 FC'''}}}]]
|| [[이와키 FC|[[파일:이와키 FC 로고.svg|height=50]]]][br]
[[이와키 FC|{{{#ffffff '''이와키'''}}}]]
||<width=25%>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파일: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로고.svg|height=50]]]][br]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17952c,#6ae77f '''지바'''}}}]]
||<height=80> [[후지에다 MYFC|[[파일:후지에다 MYFC 로고.svg|height=50]]]][br]
[[후지에다 MYFC|{{{#ffffff '''후지에다'''}}}]]
|| ||<-2><bgcolor=#d8232a> [[틀:J1리그|{{{#ffffff ◀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height=30]]}}}]] ||<-2><bgcolor=#006bc8> [[틀:J3리그|{{{#ffffff [[파일:J3리그 엠블럼 가로형(2023~).svg|height=30]] ▶}}}]] ||



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
방포레 고후
Ventforet Kofu
정식 명칭ブァンフォーレ甲府
별칭Ventforet
라이선스J1
창단1965년
구단 형태시민구단
소속 리그J2리그
연고지야마나시현 고후시
홈구장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 (17,000명 수용)
도쿄 국립경기장 (2023년 ACL 한정)
구단주사쿠마 토오루 (佐久間悟)
감독시노다 요시유키 (篠田善之)
키트 스폰서미즈노
공식 웹사이트파일:방포레 고후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J2리그
(1회)
2012
천황배
(1회)
2022

1. 개요
2. 역사
3. 선수단
4. 주요 선수



1. 개요[편집]


방포레 고후는 야마나시현 고후를 연고로 하는 J리그 축구팀이다. 1999년에 J리그에 가입했다. 홈 경기장은 JIT 리사이클링 잉크 스타디움이다. 등번호 12번은 서포터 번호로서 영구결번이다.

2004년 평균관중 600명대에서 2014년 12,000명대로 상승했다.

방포레 고후 영구결번
No.12 서포터

팀 이름은 프랑스어에서 바람을 뜻하는 방(Vent)과 숲을 뜻하는 포레(forêt)의 합성어다. 이 말은 유명한 사자성어인 다케다 신겐풍림화산(風林火山)에서 따왔다.


2. 역사[편집]


1965년에 고후제일고교 축구부 OB인 카와테공업소 사장 카와테 요시카즈(川手良萬)가 실업팀인 고후 축구클럽으로 창단하여 실업축구인 일본 축구 리그(JSL)에 참가하였다. J리그가 출범하기 직전인 1992년, JSL의 일반 시민 클럽은 교토 시코(현 교토 상가 FC)와 이 고후 클럽이 유이했다.

J리그 개막 이후 야마나시현 축구협회와 OB들에 의해 J리그 가입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어 1995년에 팀 이름을 반포레 고후로 개칭하였다. 1997년에 지역 기업 등이 출자하고 운영 법인 반포레 야마나시 스포츠 클럽을 설립하여 프로화 하였다. 1998년은 리그 2위를 차지하는 31득점을 올린 바론의 활약으로 JFL 4위를 차지하였다.

1999년에 발족된 J리그 디비전 2(J2) 참가가 결정됐다. 시즌 종료 후 바론은 이치하라로 이적했다. 2005년 J2리그 3위를 기록하여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가시와 레이솔을 꺾고[1] J1리그로 처음 승격하였으나 2007년 17위를 기록하여 다시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10 시즌 J2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여 승격을 확정하여 4년만에 J1로 복귀하였다. 이듬해 16위를 기록하여 다시 강등되었다. 그러나 2012 시즌에 J2리그 우승을 하며 다시 1부리그로 복귀하였다가, 2017년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베갈타 센다이에게 승리하고도 함께 강등 위기에 있던 시미즈 S펄스비셀 고베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승점에서 밀려 J2리그 강등이 확정되었다. #

2018시즌부터 J2승격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J1의 16위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루게 되었다. 1년만 일찍 제도가 바뀌었다면 고후 입장에선 잔류의 가능성이 있었을지도. 이후 J2리그에서는 중위권에서 분투하고 있다. 그러나 승격에 실패하고 우에노 감독과의 계약도 연장하지 않았다.

2019시즌은 5위로 마치면서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4위 도쿠시마와 1대1로 비겼고 리그 순위가 밀려서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천황배에서 J1리그 3위팀인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연장 승부차기 끝에 꺾어 2011년 당시 J2리그에 있었던 FC 도쿄 이후로 2부리그 팀이 두 번째로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이변을 일으킨 동시에 최초로 2023-24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 직행하였다. 2022 AFC 챔피언스리그전남 드래곤즈처럼 조별리그에 2부리그 소속팀이 연속해서 ACL에 진출한 역사를 남겼다. 다만, ACL 개최를 위해서는 홈구장에서 등받이가 부착된 좌석이 5000석 이상 되어야 한다는 AFC의 규정으로 인하여 홈경기는 고후에서 치를 수 없으며, 모든 홈 경기는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진행된다.
여담이지만 동아시아 축구 역사상 최초로 2부리그 소속 시민구단으로서 우승한 기록도 남겼다.[2]

그렇게 2부리그 최초의 시민구단 소속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게 된 방포레 고후는 2차전 태국의 부리람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극장골을 넣어 승리하여 첫승을 신고하였으며, 4차전 중국의 저장 FC를 실력으로 격파하고 두번째 승리를 챙겼다.

3. 선수단[편집]


방포레 고후 2019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영문 성명생년월일체격
1파일:일본 국기.svgGK카와타 코헤이河田 晃兵1987.10.13184cm / 73kg
2파일:일본 국기.svgDF유자와 마사토湯澤 聖人1993.10.10179cm / 74kg
3파일:일본 국기.svgDF코야나기 타츠시小柳 達司1990.02.07180cm / 76kg
4파일:일본 국기.svgDF야마모토 히데오미山本 英臣1980.06.26175cm / 69kg
6파일:브라질 국기.svgDF에데르 리마Eder Lima Dos Santos1986.02.05187cm / 73kg
7파일:일본 국기.svgMF나카야마 리쿠中山 陸2001.01.22174cm / 64kg
8파일:일본 국기.svgMF아라이 료헤이新井 涼平1990.11.03183cm / 67kg
9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피터 우타카Peter Maduabuchi Utaka1984.02.12178cm / 79kg
10파일:브라질 국기.svgFW두두Luiz Eduardo Dos Santos Gonzaga1990.04.21180cm / 75kg
11파일:일본 국기.svgMF소네다 유타카曽根田 穣1994.08.29171cm / 69kg
13파일:일본 국기.svgFW오오타 슌스케太田 修介1996.02.23176cm / 70kg
14파일:일본 국기.svgMF요코타니 시게루横谷 繁1987.05.03178cm / 72kg
16파일:일본 국기.svgDF마츠하시 마사루松橋 優1985.03.22173cm / 69kg
17파일:일본 국기.svgFW카나조노 히데타카金園 英学1988.09.01184cm / 78kg
18파일:일본 국기.svgFW사토 코이치佐藤 洸一1986.11.28184cm / 73kg
19파일:일본 국기.svgFW미야자키 쥰마宮崎 純真2000.04.10173cm / 66kg
21파일:일본 국기.svgMF아라키 쇼荒木 翔1995.08.25166cm / 65kg
22파일:일본 국기.svgDF코이데 유타小出 悠太1994.10.20178cm / 76kg
23파일:일본 국기.svgGK오카 히로키岡 大生1988.04.18185cm / 75kg
25파일:일본 국기.svgFW모리 코우타森 晃太1997.06.13175cm / 69kg
26파일:일본 국기.svgMF사토 카즈히로佐藤 和弘1990.09.28175cm / 68kg
27파일:일본 국기.svgMF코바야시 이와나小林 岩魚1996.10.17178cm / 72kg
28파일:일본 국기.svgMF하시즈메 유키橋爪 勇樹1990.08.10175cm / 65kg
31파일:일본 국기.svgGK오카니시 코스케岡西 宏祐1990.07.17186cm / 80kg
33파일:일본 국기.svgGK코이즈미 유토小泉 勇人1995.09.14195cm / 83kg
34파일:일본 국기.svgDF이마즈 유타今津 佑太1995.07.08184cm / 78kg
35파일:일본 국기.svgMF나카무라 료타로中村 亮太朗1997.09.27179cm / 70kg
36파일:일본 국기.svgDF나카시오 다이키中塩 大貴1997.06.08181cm / 67kg
37파일:일본 국기.svgGK미즈카미 슈리水上 珠吏2001.05.18188cm / 72kg
38파일:일본 국기.svgDF이노우에 미키井上 樹2001.05.28177cm / 65kg
39파일:일본 국기.svgDF우치다 켄타内田 健太1989.10.02178cm / 69kg
40파일:일본 국기.svgMF오구라 쇼헤이小椋 祥平1985.09.08175cm / 67kg
41파일:일본 국기.svgMF타케오카 유토武岡 優斗1983.06.24178cm / 73kg
50파일:일본 국기.svgMF타나카 유스케田中 佑昌1986.02.03176cm / 75kg
구단 정보
구단주: 우미노 카즈유키 / 감독: 이토 아키라 / 구장: 야마나시 중앙은행 스타디움
출처: 방포레 고후 / 최종 수정 : 2019년 7월 31일





4. 주요 선수[편집]


  • 일본
    • 노자와 히데유키 : 2021-
    • 마이크 하프나[3] : 2010-2011
    • 미치부치 료헤이 : 2017-2018
    • 아베 타쿠마 : 2014-2015
    • 이토 준야 : 2015
    • 코즈카 카즈키 : 2018



  • CONMEBOL
    • 루이스 카를루스 두스 산투스 마르틴스 : 2008-2012
    • 브루노 파라이바 : 2022[4]
    • 알렉산드루 마르케스 지 올리베이라 : 2005
    • 패트릭 올리베이라 : 2013[5]
    • 호세 오르티고사 : 201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19:55에 나무위키 방포레 고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당시 바레의 전설의 한경기 6골이 터졌다.[2] 2부리그 소속으로 2011년 천황배를 우승한 FC 도쿄와 2021년 FA컵을 우승한 전남 드래곤즈는 모두 기업구단이다. 그리고 2004년 당시 1부리그 소속으로 천황배를 우승했으나 강등돼서 아챔에는 2부리그 소속으로 출전한 도쿄 베르디 역시 이 시기에도 니혼TV의 지분이 남아있었던 점 때문에 엄연히 기업구단에 속한다.[3] 네덜란드 계통이지만 1993년 가족 전원이 일본으로 귀화했다.[4] 피게이렌시 FC에서 임대.[5] 아틀레치쿠 고이아넨시에서 임대.